2025.11.13 (Thu) KOREA Edition

SNS issue

브릿지연예

얼굴은 차은우, 머리는 AI 전문가…'사기캐' 동생의 충격 정체

코엑스에서 개최된 'AI 서밋 서울 앤 엑스포 2025'에 공식 연사로 초청되어, 형의 유명세가 아닌 자신만의 전문성으로 대중 앞에 나섰다. 이미 여러 방송을 통해 형 못지않은 수려한 외모로 대중의 눈도장을 찍었던 그가, 이번에는 IT 업계의 전문가로서 무대에 오르면서 외모와 지성을 모두 갖춘 '현실판 엄친아'의 면모를 제대로 입증한 셈이다.이날 이동휘 씨는 'AI 레서피: 형을 위해 만든 AI, 브랜드 검증 툴로 진화하다'라는 매우 흥미로운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는 최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AI 데이터 크롤링' 모델을 다룬 것이다. 이 기술은 웹상의 방대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AI가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는 강연을 통해 이 기술이 단순히 데이터를 모으는 것을 넘어, 연예인인 형의 활동과 관련하여 실시간 트렌드를 분석하고, 팬들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며, 나아가 브랜드 평판을 검증하는 도구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비전을 제시하며 청중의 큰 호응을 얻었다.그의 이러한 전문성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이동휘 씨는 중국의 명문대로 손꼽히는 푸단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로, 이후 제일기획과 펑타이 등 국내 유수의 광고 회사에서 마케팅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는 언바운드랩의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기업 투자 자문 및 프로젝트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미디어 전공자로서 마케팅 분야를 거쳐 최첨단 AI 기술 전문가로까지 이어진 그의 독특한 이력은, 그가 얼마나 다재다능하고 끊임없이 자신을 발전시켜 온 인물인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이동휘 씨는 이미 대중에게 낯선 인물이 아니다. 지난해 12월 tvN '핀란드 셋방살이'에서 형 차은우와 함께 출연했으며, 특히 지난 6월에는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잠시 등장했을 당시 차은우와 똑 닮은 완벽한 비주얼로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바 있다. 당시 '얼굴 천재' 형 옆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는 외모로 '유전자의 위대함'을 실감케 했던 그가, 이번에는 전문적인 강연으로 자신의 '뇌섹남' 매력까지 발산하면서 대중의 관심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연예인 가족이라는 후광을 넘어, 자신의 분야에서 실력으로 존재감을 드러낸 그의 행보에 많은 이들의 응원과 기대가 쏠리고 있다.

문화&여행

가장 기뻐야 할 '서점의 날'에…전국 서점가에서 곡소리 터져 나온 사연

비롯한 11개 관련 단체는 공동 성명을 통해, 단순히 책을 파는 공간을 넘어 지역 문화 생태계의 실핏줄이자 뿌리 역할을 하는 동네 서점의 공공적 기능을 정부가 인정하고, 이를 뒷받침할 실질적인 예산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의 목소리에는 단순한 이익 추구를 넘어, 풀뿌리 문화의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절박함이 짙게 배어 있었다.이들 단체가 정부를 향해 날 선 비판을 쏟아내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지난 정권에서 지역 서점 활성화와 관련된 문화 예산이 전액 삭감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현장은 극심한 혼란과 좌절을 겪어야만 했다. 올해 들어 해당 예산이 다시 복원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한번 무너진 신뢰와 정책의 비일관성이 남긴 상처는 여전하다. 정부의 줏대 없는 인식과 오락가락하는 정책이 현장에 초래한 혼선과 부작용은 아직도 해소되지 않았으며, 이는 지역 서점들이 안정적인 미래를 계획하기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서점·출판계는 지역 서점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두 가지 핵심 의제를 제시했다. 첫째는 지역 서점의 핵심 동력이 되는 '출판' 생태계 자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다. 좋은 책이 꾸준히 출판되지 않는다면 서점 역시 존재 의미를 잃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둘째는 바로 '도서정가제'의 유지와 보완이다. 과도한 가격 경쟁이 불러올 공멸을 막고, 소규모 지역 서점들이 대형 자본에 맞서 최소한의 생존 기반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도서정가제는 단순한 가격 정책을 넘어 문화 다양성을 지키는 필수적인 안전장치라고 이들은 강조했다.결국 이들의 요구는 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지식과 문화를 전파하는 최소한의 보루를 지켜달라는 외침과 같다. 지역 서점이 사라진 자리는 단순히 빈 상점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구심점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지역 서점의 존재 가치를 단순히 경제적 잣대로만 평가해서는 안 되며, 미래 세대를 위한 문화적 자산을 보존하고 가꾸는 차원에서 정부의 책임 있는 역할과 장기적인 비전을 보여줄 것을 요구했다. '서점의 날'에 울려 퍼진 이들의 호소가 공허한 메아리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관심과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