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Wed) KOREA Edition

SNS issue

브릿지연예

부끄러워 고개 젓던 '아기'는 어디로…카메라 압도하는 '프로 모델' 추사랑의 두 얼굴

추성훈은 지난 17일 자신의 SNS를 통해 "딸이 세계로 날아오르는 첫걸음이 시작되었다"는 벅찬 소감과 함께 딸의 화보 사진을 공개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국민 랜선 조카'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았던 어린 아이의 모습에서 벗어나, 놀라운 성숙미를 발산하며 프로 모델로서의 성공적인 첫발을 내디딘 것이다.이번에 공개된 화보 속에서 추사랑은 '모델'이라는 수식어가 어색하지 않을 만큼 프로페셔널한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긴 생머리를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채 블랙, 화이트, 블루 등 차분한 색감의 패딩 아우터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시크하면서도 깊이 있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특히 카메라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눈빛에서는 어린 나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묵직한 존재감이 느껴졌으며, 벤치에 눕거나 재킷 깃으로 얼굴을 가리는 등 다양한 콘셉트와 포즈를 자유자재로 소화하며 모델로서의 무한한 잠재력을 입증했다.하지만 놀라운 데뷔와는 상반되는 추사랑의 과거 발언이 재조명되면서, 이번 모델 활동의 배경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최근 엄마 야노 시호의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 영상에서 추사랑은 모델 활동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바 있다. 제작진이 "사랑이도 런웨이에 서보고 싶은 생각을 했냐"고 묻자, 부끄러운 듯 웃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던 것이다. 이는 카메라 앞에서 당당하고 프로다운 모습을 보여준 화보 속 이미지와는 완전히 대조되는 모습이어서 더욱 눈길을 끈다.당시 영상에서 엄마인 모델 야노 시호는 딸이 자신의 뒤를 이어 세계적인 모델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강하게 내비쳤다. 야노 시호는 "엄마는 일본과 한국 무대에만 섰지만, 사랑이는 뉴욕, 파리, 밀라노 무대에도 섰으면 좋겠다"며 "엄마는 못했으니 대신 해달라"고 구체적인 바람을 전했다. 그러나 추사랑은 "괜찮아"라며 손사래를 치며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처럼 모델의 길을 원치 않았던 듯한 추사랑의 과거 모습과, 딸을 세계적인 모델로 키우고 싶어 하는 엄마의 열망이 교차하면서, 이번 데뷔가 온전히 추사랑 본인의 의지인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화&여행

‘피카소’ 보러 KTX 안 타도 된다…우리 동네로 찾아온 명화, 대체 무슨 일?

역전시 활성화 사업’이 바로 그것으로, 서울 유수의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기획되어 시장의 인정을 받은 우수 전시 콘텐츠를 전국 각지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경남 거제도의 복합문화공간 ‘아그네스파크’에서는 서울 토탈미술관이 기획한 ‘더 쇼 머스트 고 온’ 전시가 열리고, 한강 너머 북한 땅이 보이는 김포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에서는 멸종위기 동식물을 주제로 한 ‘자연의 영토 함께’ 전시가 관람객을 맞이하는 등, 이제는 먼 길을 나서지 않아도 지역의 일상 공간에서 수준 높은 예술을 만나는 것이 가능해졌다.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수도권에 극심하게 편중된 미술계의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3년 미술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미술관 278곳 중 서울의 비중은 16.5%(46곳)에 불과하지만, 연간 미술관별 평균 관람객 수는 서울이 12만 2,133명으로 서울 외 지방(4만 3,715명)의 세 배에 육박했다. 화랑은 전국 895개 중 절반이 훌쩍 넘는 513개(57.3%)가, 경매회사는 12곳 중 10곳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2023년에 열린 아트페어 82개 중 35개(42.7%)가 서울에서 개최되는 등 인프라와 콘텐츠의 쏠림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이는 곧 지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가 원천적으로 제약받고 있음을 의미한다.정부와 유관 기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전시 활성화 사업’의 규모를 대폭 확대하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4년 30억 원의 예산으로 19개 전시를 지원하며 시작된 이 사업은 올해 46억 원(56곳)을 거쳐 내년에는 76억 원으로 예산이 증액될 예정으로, 불과 2년 만에 예산 규모가 2.5배 이상 성장했다. 사업은 크게 세 갈래로 나뉜다. 주요 미술관의 소장품을 순회 전시하는 ‘미술관 콘텐츠 활용’, 인구감소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지역 특화전시’, 그리고 우수 콘텐츠와 지역 공간을 연결하는 ‘매칭 지원’을 통해 전국 곳곳의 미술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피카소와 동시대 화가’ 전시는 충남 서천에서, 사비나미술관의 ‘조던매터’ 사진전은 부산에서 열리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지역전시 활성화 사업’은 단순히 서울의 전시를 지방으로 옮겨 놓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술가에게는 새로운 활동 무대를, 지역 전시 공간에는 양질의 콘텐츠 확보 기회를, 그리고 지역민에게는 수준 높은 문화 향유의 장을 제공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전북 군산의 한 전시에 참여한 작가는 “지역 전시 공간과 협력하고 다른 작가들과 교류할 기회가 생겨 뜻깊었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서울의 우수한 전시 콘텐츠가 지역으로 확산되는 선순환 구조는 지역의 사립미술관, 화랑, 기획사들이 자체적인 기획 및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한 단계 더 성장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