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가격은 20배 올랐는데, 인기는 여전히 '1위'…소주의 무서운 저력
기사입력 2025-11-27 17:22
지난 55년간 서민들의 애환을 달래주며 '국민 술'로 자리매김한 소주가 시대의 변화와 함께 상전벽해 수준의 변모를 겪었다. 가격은 20배 가까이 치솟았지만, 알코올 도수는 반대로 절반 수준까지 떨어지며 독한 술의 대명사에서 '부드러운 술'로 이미지를 완전히 바꿨다. 한국물가정보가 창립 55주년을 맞아 발간한 『종합물가총람』은 1970년부터 2025년까지 소주의 역사를 통해 우리 사회와 생활 물가의 변화를 흥미롭게 조명했다.기록에 따르면 1970년, 360ml 소주 한 병의 가격은 65원이었다. 지금의 화폐 가치로 보면 매우 저렴하게 느껴지지만, 당시 쇠고기 한 근이나 쌀 한 되 가격과 비교하면 결코 만만한 가격이 아니었다. 이후 소주 가격은 경제 성장과 함께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렸다. 1975년 100원대를 넘어섰고, 88 서울 올림픽이 열렸던 1988년에는 350원, 1996년에는 510원을 기록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600원대에 진입했으며, 2004년에는 드디어 1000원 선을 돌파했다. 그리고 2025년 11월 현재,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소주 가격은 1260원에서 1340원 수준으로, 55년 전과 비교하면 약 20배가량 오른 셈이다.

이처럼 가격은 오르고 도수는 낮아지는 극적인 변화 속에서도 소주에 대한 한국인의 사랑은 변치 않았다. 2023년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국내 음주자 중 52%가 가장 좋아하는 술로 소주를 꼽아 38%에 그친 맥주를 여유 있게 따돌리고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결국 소주의 55년 역사는 단순히 한 주류 제품의 변천사가 아니라, 시대의 흐름과 소비자의 입맛, 그리고 서민들의 경제 상황까지 고스란히 반영하며 함께 울고 웃어온 우리 생활 물가의 생생한 기록인 셈이다.
기사인쇄 | 성승훈 기자 ssh1780@bridg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