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나이는 숫자일 뿐"…삼성, 30대 상무·40대 부사장 앞세워 'AI 전쟁' 선포
기사입력 2025-11-25 18:17
삼성전자가 칼을 빼 들었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미래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나이와 국적을 파괴한 파격적인 임원 인사를 단행한 것이다. 25일 발표된 2026년 정기 임원 인사에서는 총 161명이 승진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는데, 이는 최근 2년과 비교해 대폭 확대된 규모다. 단순한 승진 인사를 넘어, 급변하는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조직 전체를 젊고 역동적으로 수술하겠다는 삼성의 강력한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특히 부사장 승진자는 51명으로 작년보다 46%나 늘었고, 연구개발(R&D) 전문가를 위한 직급인 마스터 역시 60% 급증하며 기술 중심의 세대교체에 대한 분명한 신호를 보냈다.이번 인사의 핵심 키워드는 단연 'AI'와 '미래 기술'이다. 챗GPT가 촉발한 생성형 AI 혁명이 이제는 스마트폰, 가전, 로봇 등 실제 제품과 서비스로 옮겨붙으며 본격적인 AI 응용 시대를 열고 있다. 삼성전자와 같은 제조 기반 기업에게 AI 전환의 성공은 미래 생존을 가르는 절체절명의 과제가 된 셈이다. 이러한 위기의식 속에서 삼성은 AI, 로봇, 차세대 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젊은 피를 대거 수혈했다.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주도해 온 이성진 그룹장이 부사장으로 승진하며 삼성의 AI 기술 개발을 이끌게 됐고, 로봇 플랫폼 전문가 최고은 팀장과 생성형 AI 모델 전문가 이강욱 상무 등 각 분야의 핵심 인재들이 전면에 나섰다.

이번 인사는 단순히 미래 기술 인재를 우대하는 것을 넘어, 이들이 실질적인 경영 성과를 창출하도록 힘을 실어주겠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세계 최초의 AI 폰인 '갤럭시 AI'를 기획하고 폴더블폰의 혁신을 주도한 강민석 부사장,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인 HBM과 DDR5의 완성도를 높인 홍희일 부사장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는 R&D 성과가 실제 제품과 시장에서의 성공으로 직결되도록 만들고, 그 공헌을 확실하게 보상함으로써 기술과 경영을 아우르는 차세대 리더를 키워내겠다는 삼성의 장기적인 인재 육성 전략을 보여준다. 결국 삼성은 이번 인사를 통해 '기술 초격차'를 이끌 젊은 리더들을 전면에 내세워,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속도로 AI 시대의 승자가 되겠다는 선전포고를 한 셈이다.
기사인쇄 | 성승훈 기자 ssh1780@bridg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