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년 연장 '찬성' 74%…그러나 '이 문제' 해결 못 하면 재앙 될 수도
기사입력 2025-11-20 10:40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이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은퇴를 앞둔 고령층의 희망 사항을 넘어,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20대부터 조직의 허리 역할을 하는 30~40대까지 아우르는 전 세대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 리멤버가 직장인 10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4%가 정년 연장의 필요성에 고개를 끄덕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80.8%)와 50대(77.9%)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찬성률을 보인 것은 물론, 비교적 정년이 멀게 느껴지는 20대(67.9%)와 30대(70.4%)에서도 10명 중 7명꼴로 찬성 의사를 밝혀, 정년 연장이 더 이상 특정 세대만의 의제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주었다.직장인들이 이처럼 한목소리로 정년 연장을 외치는 배경에는 깊은 경제적 불안감이 자리하고 있었다. 정년 연장이 필요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9%가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첫손에 꼽았으며,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까지의 소득 공백(크레바스) 해결’이라는 응답도 17.8%에 달했다. 두 가지 이유를 합치면 절반이 훌쩍 넘는 응답자가 당장의 생계와 노후 준비라는 지극히 현실적인 경제 문제 때문에 더 오래 일하기를 원하고 있는 셈이다. 이상적인 정년으로는 전체의 60.2%가 ‘만 63~65세’를 선택해, 최소한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는 안정적인 소득 활동을 이어가고 싶어 하는 속내를 드러냈다.

결국 정년 연장 논의는 단순히 ‘더 오래 일하게 해달라’는 요구를 넘어,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연공서열 중심 임금체계와 경직된 인사 시스템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으로 이어진다. 세대 간의 입장 차이가 분명한 만큼, 한쪽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방식으로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리멤버 측 관계자는 "정년 연장 논의의 초점은 세대 갈등이 아니라, 기존 인사 시스템을 어떻게 근본적으로 개편할지에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곧, 연령이 아닌 능력과 성과에 따라 공정하게 보상받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세대 갈등을 최소화하고 정년 연장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법임을 시사한다.
기사인쇄 | 성승훈 기자 ssh1780@bridg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