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뉴스
'트럼프 관세=물가 폭탄'…연방 공무원 표심 잡자 '트럼프의 남자' 무너졌다
기사입력 2025-11-05 17:25
미국 정치 지형의 풍향계로 여겨지는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에서 민주당의 애비게일 스팬버거 전 연방 하원의원이 공화당의 윈섬 얼-시어스 후보를 누르고 승리를 거머쥐었다. AP통신은 개표가 34% 진행된 시점에서 스팬버거 후보가 54.5%의 득표율로 45.3%를 얻은 얼-시어스 후보를 여유롭게 앞서며 사실상 당선을 확정지었다고 보도했다. 중앙정보국(CIA) 요원이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진 스팬버거 당선인은 전통적인 보수 강세 지역구에서 3선을 지내며 정치적 입지를 다져온 인물이다. 그는 민주당 내에서도 급진적인 좌파 정책과는 선을 긋고 철저한 중도 노선을 견지하며 경제 이슈를 집중적으로 파고드는 전략으로 변덕스러운 버지니아의 표심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스팬버거의 핵심 선거 전략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이었다. 그는 트럼프의 대표 정책인 고율 관세가 결국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버지니아 주민들의 가계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잦은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으로 인해 수많은 연방 공무원들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다고 날카롭게 비판했다. 이러한 주장은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와 인접해 다수의 연방 공무원들이 거주하는 버지니아의 지역적 특성에 정확히 부합했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해고의 칼바람을 직접 경험했거나 목격한 유권자들이 스팬버거의 '민생 안정' 주장에 깊이 공감하며 그에게 표를 던진 것으로 분석된다.

스팬버거의 승리는 단순히 버지니아 주정부의 권력 교체를 넘어,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미국 유권자들의 지지가 약화되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다른 지역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함께 치러진 뉴욕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의 조란 맘다니 후보가 우세를 보이고 있으며, 뉴저지 주지사 선거 역시 민주당의 미키 셰릴 후보가 공화당 후보와 접전 속에서 근소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지배적이다. 이번 '미니 중간선거'의 주요 격전지 세 곳 모두를 민주당이 석권하는 '싹쓸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될지, 그 결과에 따라 향후 미국 정치의 무게추가 크게 흔들릴 전망이다.
기사인쇄 | 서혜경 기자 seohk@bridg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