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앙 권력 해체? 이재명표 '돈줄 갈아엎기' 지방은 웃을까 울까!
기사입력 2025-07-16 09:42
현재 지방교부세는 전체 내국세의 19.24%가 지방 정부로 배분된다. 이는 재정적으로 어려운 지역에 더 많은 자금을 지원하여 지역 간 재정 불균형을 해소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조선대 경제학과 임상수 교수가 지적했듯이, 교부세가 내국세의 특정 비율에 따라 자동적으로 지급되는 방식이다 보니, 각 지역의 실제적인 필요에 맞춰 재원을 정교하게 배분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더불어, 이러한 중앙 정부 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세입을 늘리거나 재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는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러한 교부세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자체의 주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국정기획위는 지방교부세 인상과 더불어 지방소비세 인상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 중이다. 지방소비세는 국세인 부가가치세 수입의 25.3%를 지방세로 전환하여 각 지자체에 배분하는 세금이다. 이 세금은 소비가 발생한 지역에 더 많은 재정이 돌아가도록 설계되어 있어, 지자체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소비 진작을 통해 자체 세입을 늘리도록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한국지방세연구원 관계자도 언급했듯이, 부동산 관련 세수 의존도가 높은 현 지방 재정 구조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소비 기반의 안정적인 세입원을 확보하는 데 지방소비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구체적인 인상 폭도 논의되고 있다. 지방교부세율은 현행 19.24%에서 최대 25%까지 약 5%포인트 인상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며, 지방소비세의 부가가치세 이양 비율은 현행 25.3%에서 최대 50%까지 단계적으로 높이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는 지자체가 보다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소비 기반 세입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다. 국정기획위 관계자는 "그간 지자체들이 요구해 온 이양 비율 확대를 비롯해 소비 항목별 조정이나 단계적 인상 설계 등 다양한 건의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의 이러한 지방 재정 분권 강화 움직임은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큰 틀 안에서 지자체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동시에 증대시키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지방의 재정 자립도를 높이고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 집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한민국 전반의 활력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기사인쇄 | 성승훈 기자 ssh1780@bridg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