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뉴스
트럼프의 돌변, "그들은 평생 배터리만 만든 전문가들"…한국인 편든 진짜 속내는?
기사입력 2025-11-12 18:06
미국 대선 국면의 유력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기술자 대규모 체포·구금 사태에 대해 이례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그는 자국 우선주의와 강경한 이민 정책을 내세우던 기존의 입장과는 다소 결이 다른 목소리를 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필요한 해외 기술 인력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번 조지아 사태를 그 핵심 사례로 직접 거론했다. 그는 미국이 갖지 못한 특정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는 외부의 인재를 데려와야만 한다고 역설하며, 미국의 해외 투자 유치와 기술 경쟁력 확보라는 더 큰 틀에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시각을 드러냈다.트럼프 전 대통령은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그는 체포된 한국인들을 "평생 배터리를 만들어 온 사람들"이라고 칭하며, 배터리 제조가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매우 복잡하고 위험한 분야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들 전문가 약 500~600명이 공장 설립 초기 단계에서 미국인 근로자들에게 기술을 전수하고 생산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해 현장에 투입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지 이민 당국은 이러한 핵심적인 역할을 이해하지 못한 채, 오히려 그들을 나라 밖으로 내쫓으려 했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행정 당국의 경직된 대응을 문제 삼았다.

결국 이민 당국의 강압적인 단속에 맞서 구금되었던 한국인 노동자들이 직접 법적 대응에 나서면서 사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석방된 한국인 근로자 약 200명은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을 상대로 대규모 소송을 준비 중이다. 이들은 ABC 방송을 통해 ICE가 인종차별적인 프로파일링 수사를 벌였으며, 체포 과정에서 과도한 물리력을 사용하고 인권을 침해하는 등 명백한 불법 행위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단순한 행정 절차상의 문제를 넘어 인종차별과 인권침해 문제까지 제기되면서, 이번 소송은 미국 내 이민 정책과 외국인 전문 인력 처우에 대한 중요한 법적 판례를 남길 전망이다.
기사인쇄 | 서혜경 기자 seohk@bridgetoday.net